정부, 제약바이오협, 바이오의약품협 찾아 사전 스킨십
새 개선안 시행 앞둔 통상의 절차... 업계 긴장감 더 커져

정부가 약가제도 개선방안 발표를 앞두고 제약바이오업계와 만나 제네릭 의약품 약가산정률 조정 원칙은 설명하면서도 구체 수치는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.
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·건강보험공단·심평원 등은 최근 제약바이오협회, 바이오의약품협회 등 업계 단체와 만나 개선안의 방향성과 취지를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.
국내 제약사들이 가장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제네릭 의약품 약가 산정률 조정 문제는 구체적 수치 없이 "조정 방침이다" 원칙 수준의 설명만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다. R&D 투자 가치 보상이나 정책가산 적용 등도 언급됐지만 마찬가지로 금액·기준 등 구체적 수치는 제시되지 않았다.
더불어민주당 조원준 수석전문위원 역시 정부가 추진 중인 방향을 유사하게 언급하며 △제네릭 산정률 조정, △혁신유도형 계단식 약가인하 구조 도입, △다품목 등재관리 강화, △사후관리 제도 정비 등이 주요 과제라고 밝힌 바 있다.
그러나 업계에서는 세부 기준의 조속한 공개를 희망하고 있다. 특히 국내 제약사의 상당수가 제네릭 중심의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어 산정률 조정 폭에 따라 매출과 사업전략이 크게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긴장감이 높다.
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"제네릭 의약품 산정률은 국내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역"이라며 "알려진 바와 같이 40%로 조정되면 수익구조가 크게 달라진다. 두루뭉술한 방향으로는 내년 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쉽지 않다"고 말했다.
다른 제약사 관계자는 "대부분의 회사들이 이미 내년 사업계획을 정했지만 정부 약가정책이 변수다. 내년 제도가 시행예정이라면 지금 수정 및 재검토가 필요한 상황"이라며 "떠도는 소문이 아닌 확정안이 빨리 공개되길 바란다"고 전했다.
